hard currency 뜻 (경화) , soft currencty(연화) 차이점

오늘은 자본주의를 살아가면서 반드시 알아야 할 용어인 hard currency 뜻 (경화) , soft currencty(연화)의 뜻과 의미를 알아보고 둘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까지 알아보겠습니다.

1.화폐의 세 가지 기능

  1. 교환의 매개
  2. 단위체계
  3. 가치저장

먼저 이해를 하고 넘어가야 할 것이 바로 “화폐란 무엇인가”입니다. 화폐는 기능이 3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교환의 매개채, 단위체계, 그리고 가치저장입니다. 이 세가지를 모두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만 진정한 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돈인 한화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돈을 주고 슈퍼에 가서 사과를 사왔습니다. 방금 한 행위는 교환의 매게 역할은 한 것이고, 이 사과를 비롯해 모든 상품들이 원화로 표시가 되는데 이걸 단위체계라고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 일을 해서 돈을 예금, 적금 등을 함으로써 가치를 저장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원화는 이 세 가지 기능을 모두 하고있습니다.


1-1) 역사적으로 쓰였던 돈들

우리가 생각해보면 역사를 봤을 때 꼭 원화가 아니라 돈의 여러가지로 나타났는데, 예를 들면 어느 시대는 금, 은, 또는 소금이 돈인 시절도 있었고, “소”가 돈이거나 어느 나라에서는 구슬이 돈인 적도 있었습니다. 이런 돈들은 가치를 잃어가게 됐는데, 그 이유가 바로 “가치저장”수단으로 기능을 잃었기 때문에 돈의 기능을 잃은 겁니다. 돈은 무한 하면 안 되고 유한해야 하고 거래의 수단으로도 가볍고 쉽게 거래가 되어야 합니다. 구석기 시대에 육지에 있는 사람들은 “조개”가 귀했지만, 신석기 시대가 오면서 점점 “조개”가 흔해지기 시작했고, 화폐의 기능을 잃었던 겁니다.


2. stock , flow 용어의 이해

조금 어려운 용어이긴 하지만 알아두면 좋습니다. Stock를 다른말로 저량이라 하고, flow를 다른말로 유량이라고 합니다. stock는 현재 세상에 있는 돈의 양을 말하고, flow는 앞으로 새롭게 만들어 지는 돈의 양을 말합니다. 좋은 돈이란 현재 세상이 있는 돈의 양이 적고, 앞으로도 만들어 지는 돈의 양도 적어야 합니다. 예를 “금”은 새롭게 채굴하기 힘들고 현재 세상에 있는 돈의 양도 많지 않습니다. 이런 걸 바로 경화, 즉 hard currency 라고 하고,우리나라 화폐인 원화를 보면 점점 돈의 양은 많아지고 새롭게 만들어 지는 양 또한 많아지고 있는데 이런 돈을 연화 , soft currency라고 합니다.

아래 두 그래프는 우리나라의 광의통화와 미국 달러의 광의통화량입니다. 시간이 지날 수록 돈의 양은 엄청나게 많아지고 있습니다. 우상향입니다.

한국은행-광의통화-M2-1990-2020
한화 M2 증가


미국의 달러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2022년에 잠깐 하락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최근에 다시 돈을 풀고 있습니다. 1985년과 비교했을 땐 어마어마하게 늘어난 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fred-M2-통화량증가-1985년-2020년
달러 M2 증가


3. hard currency 뜻 –> 경화 (강한자산)

나무 위키에는 이렇게 적혀있습니다. 원래는 금속으로 만든 화폐를 뜻하는 말이며, 오늘날에는 “이나 외국돈으로 항상 바꿀 수 있고 구매력과 안정성이 뒷받침되는 현금“의 뜻으로 더 많이 쓰인다. 여기서 봐야 할 것이 “구매력”입니다. 상품을 살 수 있는 “힘” 이것이 떨어지지 않는 돈이 바로 하드머니, 즉 hard currency인 겁니다. 한자로도 단단할 (경)입니다. 다른 말로 강한자산이라 표현 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럼 현재 hard currency의 종류는 뭐가 있을까요? 위에도 말했듯이 “금”이 있겠고, 또 하나는 바로 “서울 아파트 부동산”입니다.


원래 부동산은 사람들의 보금자리로 역할을 할 뿐이었는데 이게 왜 이렇게 강한자산이 되었을까요? 바로 원화의 가치가 하락했기 때문에( 원화가 가치저장 수단의 역할을 잃어갔기 때문에) 이걸 부동산이 흡수를 한 겁니다. 하드머니인 서울 아파트 부동산이 소프트한 머니의 한화를 부를 흡수해 버렸기 때문에 부동산이 하드머니가 된 겁니다. 서울 아파트 공급량은 점점 더 낮아 지고, 서울의 땅은 유한합니다. 그래서 원하는 사람들은 많아지는데(수요증가) , 공급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점점 경화 , 즉 hard currency가 되어 가고 있는 겁니다. 서울의 아파트 1채가 40억인데, 정말 그 가치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아닙니다 이건 한화의 가치저장의 구매력을 부동산이 흡수한 것입니다.


4. soft money 뜻 –> 연화,軟貨 (약한자산)

연화의 사전을 보면 본래는 지폐에 대해 금속주화를 경화라 하였으나 제2차 세계대전 때부터는 금 또는 어느 나라의 통화와도 쉽게 교환될 수 있는 통화를 경화라고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연화는 강한 자산의 반대로 약한자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명목화폐인 원화를 예를 들 수 있습니다. 이런 돈들은 인플레이션이 심한 나라 일수록 더욱 더 약해집니다. 짐바브웨라는 나라같은 아주 나라의 통화가치가 낮은 나라에서는 세계 화폐라고 할 수 있는 “달러”를 더 선호하게 됩니다. 이걸 보면 강한 자산인 경화가 약한 자산이 연화를 흡수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달러 또한 다른 자산에 비해서는 연화(soft money) 이긴 합니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날까요? 우리가 나뭇잎을 만약에 돈으로 규정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세상에 나뭇잎은 엄청나게 많죠. 이럴 때 사람들이 사냥을 하거나 생산을 할까요? 안하겠죠. 다들 나뭇잎만 줏으러 다닐 겁니다. 그러면 그 나라는 망하게 될 겁니다. 생산을 안하게 되니까..


그래서 이런 사회는 더 우월한 화폐시스템을 가진 사회에 흡수를 당하게 되어 있습니다. 즉, “경화 hard currency”를 사용하는 사회는 “연화 soft money”를 사용하는 사회의 부를 흡수합니다.


결론 : 강한 자산을 소유해 나가자

오늘 이렇게 hard currency  뜻 , soft currency 뜻을 알아보고 경화의 연화를 비교해봤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한화나 달러 보다는 가치저장 수단으로 가치를 저장 할 수 있는 강한 머니를 소유해야 부자가 될 수 있습니다. 그 선택은 각자의 몫이지만, 현금이라고 부르는 원화만 가지고 있다면 시간이 지날 수록 가난해 지는 것은 자명한 일입니다. 더 좋은 소재로 또 찾아 뵙겠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